Monkey in Pajamas

구동사(phrasal verbs)란? - "부사/전치사 구분 방법 포함" 본문

영어 고수를 위한 블로그/청취, 독해, 작문에 바로 도움되는 영문법 및 어법

구동사(phrasal verbs)란? - "부사/전치사 구분 방법 포함"

잠옷 입은 몽키 2022. 6. 6. 12:02
반응형

 



구동사(phrasal verbs)

동사(verbs)와
다른 요소(전치사, 부사, 관사 등)

결합된 형태
를 말하는 것으로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다음 설명과 예문을 통해
구동사의 사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구동사의 기본부터 상세히
설명하려다 보니 내용이
길어졌습니다만
이번 기회에 차근차근 정독하시면
구동사를 마스터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구동사의 종류를

다루기 전에

가 무엇이고

구동사가 무엇인가요?


 

 

(란?)

 

영어에서 글의 구성요소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제일 작은 요소에서 나열해 보면,

 

철자(alphabets)  《 단어(words) 

구(phrases) 《 문장(sentenses)

또는 절(clauses)  문단(paragraphs)

 기사(articles) 또는

이야기(stories) 순서입니다.

 

'구(phrases)'는 

단어보다는 길고

문장보다는 짧은 것

(단어간의 결합)

말합니다.

 

예를 들어,

'break'와 'down'은

각각의 단어이고

이 두 단어를 합치면

'구(phrases)'가 됩니다. 

 

'구(phrases)'를 정의해 보면,

'2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된 형태로

문장(주어 + 동사)보다는 짧은 형태'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구동사란?)

 

구동사(phrasal verbs)라는

개념이 다소 생소하게

들릴 수 있는데

 

구동사를

영영사전(Oxford Languages)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an idiomatic phrase consisting of

a verb and another element,

typically either an adverb,

as in break down, or a preposition,

for example see to,

or a combination of both,

such as look down on."

 

상기 영문을 해석해 보면,

"동사와 다른 요소를 구성하는

관용구"이다.

여기서 다른 요소는

통상 부사, 전치사를 가리키며

'동사 + 부사', '동사 + 전치사',

'동사 + 부사 + 전치사'의 예로는

각각 'break down', 'see to',

'look down on'이 있다.

 

 

 


 

 


구동사(phrasal verbs)

몇 가지 종류가 있나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A.     Verbs(동사) + Prepositions(전치사)

 

B.     Verbs(동사) + Adverbs(부사)

 

C.     Verbs(동사) + Adverbs(부사)

+ Prepositions(전치사)

 

위에서 설명드린대로

'구동사(phrasal verbs)'는

'동사와 다른 요소가 결합된 형태'

라고 보시면 됩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사 + 전치사' → A,

'동사 + 부사' → B,

'동사 + 부사 + 전치사' → C

로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예문들을 보면서

'A, B, C'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문 1)

 

At first, he put up with(C)
his mom’s nagging, but he stood up(B)
and finally shouted at(A) his mom. 

 

(예문 1)은

'A, B, C'

모두 있습니다.

 

shout at

shout(동사)at(전치사)로 사용되어

'A'에 해당하고

 

stood up

stood(동사), up(부사)로 사용되어

'B'에 해당하며,

 

put up with

put(동사)up(부사), with(전치사)

사용되어 'C'에 해당합니다

 

 

(예문 2)

 

Please fill out this form.

(B with objects)

 

이 문장은 

fill(동사, vt.), out(부사)이므로

'B'에 해당합니다.

 

그럼

(예문 1)의

stood(동사, vi)up(부사)

무슨 차이가 있나요?

 

(예문 1)의 경우

'stand'가 자동사이기 때문에

구동사 뒤에

목적어가 없고

 

(예문 2)의 경우

'fill'이 타동사이기 때문에

구동사 뒤에

목적어가 있군요!

 

그래서

(예문 2) 뒷 부분에

'(B with objects*)'라고

언급하였습니다.

 

* 'fill out' 뒤에

목적어(this form)

있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네요!

 

B(동사 + 부사)일 경우

그 뒤에 목적어가

올 수도 있고 안올 수도 있다.

 

 


 


그럼

B(동사 + 부사)에서

어느 경우에 목적어를 취하고

어느 경우에 목적어를 취하지 않나요?


 

그것은

위에서 언급한대로

동사의 성격(자동사, 타동사)에

따라 결정됩니다.

 

'타동사 + 부사'일 경우에는

목적어(명사)를 취하지만,

'자동사 + 부사'일 경우에는

목적어(명사)를 취하지 않습니다.

 

부연 설명하면,

(예문 2)의 경우

'타동사(fill) + 부사(out)'이기 때문에

'this form'을 목적어로 취했으나,

 

(예문 1)의 경우

'자동사(stood) + 부사(up)'이기 때문에

목적어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구동사에서

목적어 등의 위치 변경은

언제나 가능하나요?


 

 

정답은

No! 입니다.

 

그 이유는

경우에 따라

가능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예문 1)과 (예문 2)의

구동사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1) 목적어(명사)

위치 변경이 가능한 경우

 

 '동사(vt.) + 부사 + 목적어(명사)'  때는

'동사(vt.) + 목적어(명사) + 부사'

목적어의 위치를 바꿀 수 있습니다.

 

즉, 아래 둘 다 가능합니다.

동사 + 부사 + 목적어(명사) (OK)

동사 + 목적어(명사) + 부사 (OK)

 

(예문 2)의 경우

다음과 같습니다.

 

fill out this form (OK)

fill this form out (OK)

 


(주의)

 

그러나,

'this form'

'it'(대명사)으로 받을 경우

다음과 같이 어순은 항상
동사 + 대명사 + 부사’의

순서가 되어야 합니다.

(☞ 동사 + 부사 + (대)명사)

fill it out  (OK)

fill out it


 


 

 

2) 목적어(명사 또는 대명사) 등의

위치 변경이 불가능한 경우

 

'동사 + 전치사 + (대)명사' 에서

'전치사'와 목적어인 '(대)명사'

위치를 바꿀 수 없고

(☞ 동사 + (대)명사 + 전치사)

 

'shouted his mom at'

'shouted her at'

 

 

'동사 + 부사 + 전치사 + (대)명사' 에서

목적어인 (대)명사, 부사, 전치사 위치를

바꿀 수 없습니다.

(동사 + (대)명사 + 부사 + 전치사)

(동사 + 부사 + (대)명사 + 전치사)

( 동사 + 전치사 + 부사 + (대)명사)

( 동사 + 전치사 + (대)명사 + 부사)

 

'put his mom's(or her) nagging up with'

'put up his mom's (or her) nagging with'

'put with up his mom's (or her) nagging'

'put with his mom's (or her) nagging up'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A(동사 전치사)

C(동사 부사 + 전치사)를  

 

다음과 같이

통상 분리할  없는(inseparable)

덩어리 표현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shout at ~

put up with ~


 

 


 

 


그럼

구동사에서

부사 전치사

어떻게 구분할까요?


 

 

동사 다른 요소만 있는 경우

(예문 1의 'stand up')

다른 요소(up) 부사입니다.

이것은 간단하죠?

 

그런데 목적어까지 있을 때 

부사인지 전치사인지 구별은

쉽지 않을 수 있는데

 

방법은

동사 다른 요소를 

분리할 수 있으면 부사,

 

그렇지 않으면(분리 불가능하면)

전치사입니다.

 

(예문 2)로

살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fill this form out / fill it out*'

동사다른 요소분리할 수 있으면

(여기서 다른 요소'부사, out'입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shout his mom (her) at'

동사와 다른 요소를 분리할 수 없으면

동사다른 요소

한 덩어리 표현*입니다.

* shout at

(여기서 다른 요소 '전치사, at'입니다.) 

 

 


 

 

확인하는 차원에서

조금 깊게

들어 보겠습니다.

 

'at' '전치사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쉽게 구분을 있는데

 

'down'(아래 Eg 참조)과 같이

'전치사' '부사'

어떻게 구분할까요?

 

Eg 1) He ran down the street.

Eg 2) The car ran down the boy.

 

위 예문에서

'down'은 '전치사' 인가요? 

아니면 '부사' 인가요?

 

정답은

 

Eg 1)의 'down'은

'전치사' 이고

 

Eg 2)의 'down'은

'부사' 입니다.

 

Eg 1)은 

동사와 다른 요소를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run the street down)

 

 'down'은 '전치사' 이고

 

Eg 2)은

동사와 다른 요소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run the boy down or run him down)

 

 'down'은 '부사' 입니다.

 


그럼

부사로 쓰일 수 있는 단어*를

한번 살펴 볼까요?

 

'about, across, ahead, along,

(a)round, aside, away, back, by,

down, up, forward, backward,

in, out, on, off, over, through,

past, home' 등입니다.

 

* 위에 언급이 없는 단어

(예: at, for, without...)는

전치사로서만

사용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at, for, without...

부사 불가


 

 

* 구동사(phrasal verbs)에 대한

기출 문제는 '본 블로그 - TOEIC 900점

이상을 위한 기출(변형)문제(표현)

및 해설 - 토익 기출: poured in /

called up / carried out / signed off'를

참고하세요.

 

(아래 Tag 중 'poured in'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Comments